메인메뉴로 이동 본문으로 이동

학습지원센터

1:1 문의

라이브강의

네오비 네이버 카페

유튜브 네오비TV

강사상시모집

컨텐츠 내용

  1. 정보마당
  2. 부동산 정보

부동산 정보

부동산 정보 조회 페이지
계약갱신청구권! (시행 1년) 종합 평가 네오비 영상팀 허승범 / 2021.08.07

 

3. 갱신 4.7억 vs 신규 8.6억…세입자들 '전세 갱신' 알아도 못 했다




살던 집에서 2년 더 살면서 보증금은 5% 이내로 인상하는


임대차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시행 1년이 됐다.


갱신권이 있지만 권리를 쓴 세입자는 절반이 채 안된다.


권리를 쓸 수 없는 '구멍' 때문이다. 의도만큼 결과가 안나오니


전셋값 불안이란 부작용만 부각




◆세입자에 "무조건 좋다"는 계약갱신권, 절반도 행사 안했다, 무력화된 이유 세가지




25일 정부에 따르면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1일 부동산 관계장관회의에서 서울 100대 아파트 임대차


계약 갱신율이 임대차법 시행전 57.2%에서 시행 후 77.7%로 올라


"임차인 다수가 임대차3법 시행의 해택을 누렸다"고 평가했다.




통계를 다시보면 '77%의 갱신비율'에는 세입자가 갱신권을


행사하지 않고 임대료를 5% 이상 올린 재계약도 포함된 숫자다.


갱신은 했으나 계약갱신청구권도, 전월세상한제도 쓰지 못한 셈




정부는 21일 100대 아파트 통계와 별도로 6월 전국 임대차계약


신고건수도 공개했다. 임대차신고제는 지난달 첫 시행했는데


계약갱신 건수는 1만3000건이고 이 중 갱신권을 행사한 건수는


8000건으로 집계




세입자의 대략 40~50%만 갱신권을 행사해 지난해 7월 임대차2법


도입 취지가 현실에 안착됐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




◆①집주인 자녀 실거주까지 갱신거절 사유


◆②집주인 실거주 여부는 세입자가 '눈'으로 확인해라?


◆③집주인-세입자 분쟁, "알아서 해라" 아무것도 안하는 정부




갱신거절 직전 전세보증금이 5억원이었는데 집주인이 제3자를


세들여 보증금 7억원(40% 인상)을 받았다면 손해배상금은 최대


1000만원이 나온다.




손해배상금은 ①갱신거절 당시 환산월차임 3개월치(315만원),


②새로운 세입자에게 얻은 환산월차임과 거절당시 환산월차임


차액 2년치(1000만원), ③갱신거절로 세입자에게 발생한


중개보수·이사비 등 손해액(400만원) 중 큰 금액이다. 임대료 수준,


인상률, 중개보수 수준에 따라 실제 금액은 달라질 수 있지만




사실 관계를 확인하는데 드는 시간과 비용, 소송을 위한 변호사 비용


등을 감안하면 배상금이 크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임대차법


시행 이후 세입자의 '손해배상' 소송보다 집주인의 '퇴거소송'이


더 많은 이유




◆④"얻는게 하나도 없는데", 집 팔고 싶어도 못파는 집주인도 '불만’




금리 인하로 인한 어렵지 않은 전세금 인상


저금리 기조로 전세대출 금리도 크게 떨어졌다. 전세대출 평균


금리는 지난 2019년 1월 대비 최근 2년간 1.02%포인트 떨어져


연 2.13%가 됐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2.91%에서


연 2.57%로 0.34%포인트 떨어진 것보다 낙폭이 크다.




쉬운 전세대출과 대출금리 하락은 세입자들이 집주인 달라는 대로


웬만하면 전세금을 올려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는 평가




* 쟁점


임대차2법 시행 1년


어떻게 느끼는가?

read 페이지 바
이전 글 이전 글이 없습니다.
다음 글

부동산 다시 뛰기 시작했다! 담화문 발표, 하반기 대출규제!

 
2021.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