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로 이동 본문으로 이동

학습지원센터

1:1 문의

라이브강의

네오비 네이버 카페

유튜브 네오비TV

강사상시모집

컨텐츠 내용

  1. 정보마당
  2. 부동산 정보

부동산 정보

부동산 정보 조회 페이지
박원순 시장의 서울시 생활계획에서 미리 보는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첨부자료 링크) 조영준교수 / 2017.05.16

박원순 서울시장이 낙후ㆍ소외된 시내 동북ㆍ서북ㆍ서남권역에 중점적으로 상업지역을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다. 문 대통령의 공약 역시 구도심과 노후주거지를 살리는 데 방점이 찍혀 있어서다. 성공 여부에 따라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상당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15일 발표된 ‘서울시 생활권계획(안)’은 서울을 도심ㆍ동북ㆍ서북ㆍ서남ㆍ동남권 5개 대(大)생활권과 116개 지역생활권으로 나눠 지역별 발전 방향을 구체화하겠다는 내용이다. 추가로 각 권역에 53개 지구중심을 배정해 실생활의 중심이 되도록 했다. 53개 지구중심 가운데 81%인 43개가 상대적으로 개발이 미진한 동북(17개)ㆍ서북(6개)ㆍ서남권(20개)에 지정됐다. 시는 신규 지정되는 상업지역 134만㎡도 동북(59만㎡)ㆍ서북(18만㎡)ㆍ서남권(40만㎡)에 우선 배정했다. 나머지 17만㎡만 동남권에 지정됐고 도심권은 상업지역 추가 지정이 아예 없다. 강남 및 도심과 다른 지역간 불균형 해소에 방점이 찍힌 셈이다.

 

상업지로 지정되면 용적률이 800%까지 높아져 고밀 개발이 가능하다. 서울시는 또 상업지역 내 비주거 의무비율을 기존 ‘30% 이상’에서 ‘20% 이상’으로 완화할 예정이어서 개발업자의 수익성은 더욱 개선될 전망이다.

서울시의 생활권계획은 새 정부의 도시재생과 시너지 가능성이 크다. 도시재생으로 주거지를 개선하고, 생활권계획으로 일대 상업지를 개발하는 식으로 조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계획 수립에 참여한 남진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도 “직주근접 차원에서 낙후 지역에 일자리, 상업 공간을 만들어서 생활권 단위에서 자족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 이번 계획”이라며 “도시재생과 맞물릴 경우 낙후지의 생활 여건이 많이 개선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현재까지 300여곳의 뉴타운ㆍ재개발 등 정비구역을 해제했고 이 중 상당수는 강북에 집중돼 있다. 사업성 부족 등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였지만 해제지역의 대안사업이 제시되지 않아 난개발 우려도 커졌다.

박원순 시장은 “그간 서울의 도시계획은 동남권 개발에만 집중해왔고, 서울 안에서도 지역별로 개발 격차가 날 수밖에 없었다”며 “소외지역의 상업지 확대와 개발 활성화를 통해 이같은 개발 격차를 확실히 바꿔놓겠다”고 말했다.

 

* 자료 다운받기 : http://planning.seoul.go.kr/front/main.act

read 페이지 바
이전 글 이전 글이 없습니다.
다음 글

숙박사업에 투자할 때 유의해야 가장 유의할 점 3가지

 
2017.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