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로 이동 본문으로 이동

학습지원센터

1:1 문의

라이브강의

네오비 네이버 카페

유튜브 네오비TV

강사상시모집

컨텐츠 내용

  1. 정보마당
  2. 부동산 정보

부동산 정보

부동산 정보 조회 페이지
’25.6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 교육팀 / 2025.07.17

’25.6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

- (주택종합) 매매 0.14%상승, 전세 0.03%상승, 월세통합 0.06%상승 -

- (아 파 트) 매매 0.17%상승, 전세 0.04%상승, 월세통합 0.07%상승 -

□ `25년 6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 매매가격지수는 전국(0.14%), 수도권(0.37%), 서울(0.95%)은 상승, 지방(-0.09%)은 하락하였고, 전세가격지수는 전국(0.03%), 수도권(0.11%), 서울(0.24%)은 상승, 지방(-0.04%)은 하락, 월세가격지수는 전국(0.06%), 수도권(0.12%), 서울(0.24%)은 상승, 지방(0.00%)은 보합을 나타냈다.

□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은 “서울‧수도권 소재 주요 신축‧재건축 단지 등은 높은 선호도로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구축‧외곽지역 소재 단지 등은 상승폭이 제한적인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ㅇ 매매는 전국적으로 비역세권, 구축 단지 등에 대한 수요는 감소하고 있으나, 서울‧수도권에서는 신축, 재건축, 개발사업 수혜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상승 기대감이 지속되면서 전국 상승 전환되었으며,

ㅇ 전·월세는 외곽지역이나 노후화 단지에 대한 수요가 한정적이나, 매매가격 상승에 따른 임차 수요 증가와 역세권‧학군지 등 정주여건 우수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지속되며, 전세는 상승 전환, 월세는 상승폭 확대중”이라고 밝혔다.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 : 0.14%] 전국은 0.14%로 전월 대비(-0.02%) 하락에서 상승 전환됐다. 수도권(0.10%→0.37%) 및 서울(0.38%→0.95%)은 상승폭 확대, 지방(-0.12%→-0.09%)은 하락폭 축소됐다. (5대광역시(-0.24%→-0.16%), 8개도(-0.09%→-0.05%), 세종(1.45%→0.39%))

(수도권) 서울(0.95%)은 재건축 추진 단지 및 대단지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매매가격 상승하며 지난달 대비 상승폭 확대. 경기(0.11%)는 성남 분당·용인 수지구 및 과천시에서 상승폭 확대되며 상승 전환, 인천(-0.08%)은 연수·중·미추홀구 위주로 하락

- (서울 강북14개구) 성동구(2.17%)는 행당·옥수동 주요단지 위주로, 마포구(1.66%)는 대흥·공덕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용산구(1.62%)는 이태원·이촌동 위주로, 광진구(0.77%)는 광장·자양동 학군지 위주로, 서대문구(0.55%)는 북아현·남가좌동 위주로 상승

- (서울 강남11개구) 송파구(2.38%)는 잠실·신천동 대단지 위주로, 강남구(2.20%)는 압구정·개포동 위주로, 서초구(2.11%)는 잠원·반포동 주요단지 위주로, 강동구(1.70%)는 명일·고덕동 대단지 위주로, 동작구(1.17%)는 흑석·대방동 위주로 상승

(지방) 세종(0.39%)은 새롬·어진동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상승했으나, 광주(-0.22%)는 동구 구축 및 입주물량 영향있는 남구 위주로, 대구(-0.20%)는 수성구 및 서구 중소형 규모 위주로, 제주(-0.15%)는 서귀포시 위주로 매수수요 감소하며 하락

 

 

※ 연립주택은 다세대주택을 포함하며, 단독주택은 다가구주택을 포함

[전국 주택종합 전세가격 : 0.03%] 전국은 0.03%로 전월 대비(0.00%) 보합에서 상승 전환됐다. 수도권(0.06%→0.11%) 및 서울(0.15%→0.24%)은 상승폭 확대, 지방(-0.05%→-0.04%)은 하락폭 축소됐다. (5대광역시(-0.04%→-0.03%), 8개도(-0.07%→-0.06%), 세종(0.35%→0.33%))

(수도권) 서울(0.24%)은 정주여건 양호한 주요단지 및 역세권 위주로 상승 계약 체결되고 일부 선호단지에서 매물부족 나타나며 서울 전체 상승폭 확대. 경기(0.06%)는 광명시·부천 소사·고양 일산동구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안양 동안구·하남시 위주로 상승. 인천(-0.06%)은 계양·남동구 위주로 상승했으나, 연수·중구에서 하락

- (서울 강북14개구) 용산구(0.38%)는 이촌·이태원동 선호단지 위주로, 광진구(0.33%)는 자양·광장동 주요단지 위주로, 노원구(0.25%)는 공릉·하계동 역세권 위주로, 중구(0.21%)는 신당·중림동 위주로, 도봉구(0.21%)는 창·방학동 위주로 상승

- (서울 강남11개구) 서초구(-0.30%)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잠원·반포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강동구(0.80%)는 고덕·명일동 위주로, 송파구(0.69%)는 문정·잠실동 주요단지 위주로, 동작구(0.45%)는 흑석·상도동 위주로, 영등포구(0.39%)는 당산·여의도동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

(지방) 대전(-0.30%)은 유성·중·서구 구축 및 대단지 위주로, 제주(-0.16%)는 서귀포·제주시 소형 규모 위주로, 강원(-0.10%)은 삼척·원주·태백시 위주로 대구(-0.10%)는 북·중구 및 달성군 위주로 하락


 

※ 연립주택은 다세대주택을 포함하며, 단독주택은 다가구주택을 포함

[전국 주택종합 월세가격 : 0.06%] 전국은 0.06%로 전월 대비(0.05%) 상승폭 확대됐다. 수도권(0.10%→0.12%) 및 서울(0.16%→0.24%)은 상승폭 확대, 지방(0.01%→0.00%)은 상승에서 보합 전환됐다.(5대광역시(0.03%→0.00%), 8개도(-0.01%→0.01%), 세종(0.05%→0.07%))

(수도권) 서울(0.24%)은 매매‧전세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월세 상승폭 확대. 경기(0.07%)는 광명시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성남 수정구 위주로 상승, 인천(0.02%)은 서구 위주로 하락했으나, 계양·남동구 위주로 상승

- (서울 강북14개구) 용산구(0.48%)는 매물 부족 등의 영향으로 문배동·한강로3가 위주로, 마포구(0.33%)는 아현·염리동 소규모 단지 위주로, 성동구(0.32%)는 옥수·하왕십리동 위주로 상승

- (서울 강남11개구) 송파구(0.50%)는 잠실·가락동 주요단지 위주로, 강동구(0.49%)는 둔촌·고덕·암사동 위주로, 영등포구(0.35%)는 신길·영등포동 대단지 위주로, 동작구(0.21%)는 상도·대방동 위주로 상승

(지방) 울산(0.27%)은 남·북구 위주로, 세종(0.07%)은 정주여건 양호한 도담‧새롬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제주(-0.17%)는 미분양 영향 있는 서귀포시 위주로, 대전(-0.17%)은 유성·중구 위주로, 대구(-0.13%)는 수성·남구 위주로 하락



 
더 자세한 정보, 자료는 네오비 카페
(https://cafe.naver.com/famlab)에서 확인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