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로 이동 본문으로 이동

학습지원센터

1:1 문의

라이브강의

네오비 네이버 카페

유튜브 네오비TV

강사상시모집

컨텐츠 내용

  1. 정보마당
  2. 부동산 정보

부동산 정보

부동산 정보 조회 페이지
도시데이터+AI, 지역맞춤형 도시혁신 이끈다 교육팀 / 2025.07.10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2025년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 시범솔루션 발굴사업지자체 공모 결과, 울산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북도(제천시 공동수행)선정하였다.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는 교통‧안전 등 다양한 도시데이터한곳에 모아놓은 도시정보 플랫폼이다. 데이터허브에 모인 데이터를 분석해서 새로운 도시서비스를 만들고 지자체도시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 국토교통부는 ’22년부터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 보급사업 등을 통해 광역지방자치단체와 공동으로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 구축해 왔으며,

ㅇ 올해부터 데이터허브가 구축된 지자체(기초지자체 포함)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등 최신 기술을 반영하고 여러 도시 공동 활용 가능한 국민 체감형 솔루션을 발굴하기 위해 첫 공모를 추진하게 되었다.

 

□ 이번 공모에 선정된 지자체에는 국비 최대 10억원(국비:지방비=1:1 매칭) 지원하며, 주요 사업계획은 다음과 같다.

 

울산광역시는 빈집 증가에 따른 안전성 확보 요구 등 다양한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광역 데이터허브와 연계한 에너지 데이터 기반의 ‘AI 예측형 빈집 관리 솔루션’을 구축한다.

ㅇ 가스, 전기, 수도 등 도시생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역별 거주패턴을 파악하고, 빈집 위험도를 예측하며 실태조사에 필요한 최적 경로를 제시하는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관광 중심 도시의 고질적인 교통 및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시·서귀포시와 협업하여 ‘공영주차장 스마트 안전 AI 분석 솔루션’을 구축한다.

ㅇ 다양한 민원 데이터를 정형화하고, 생성형 AI와 이상행동 감지 기술을 활용해 공영주차장 안전 민원 문제를 해소하며 행정 효율성정책 대응력 또한 높일 계획이다.

 

충청북도지방소멸 고위험 지역의 정착 유도 정책을 마련하고 스마트 행정을 실현하기 위해 제천시와 협력하여 ‘생활인구 기반 지방소멸 대응 솔루션’을 구축한다.

ㅇ 이를 위해 지역 내 도시·농촌 데이터를 통합 수집하여 청년 귀촌 정착 지원, 소상공인 창업지원 등 정주대책 마련을 위한 분석체계를 구축하고, 챗봇 등 AI 기반 행정기능단계적으로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 국토교통부 윤종빈 도시경제과장은 “최근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다양한 분야에 확산되고 있는 경향을 반영하여, 이번 공모에서는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에 AI 기술을 접목하는 솔루션들이 주로 제시되었다”면서,

ㅇ “이번 사업을 통해 다방면으로 수집되고 있는 도시데이터 활용이 보다 활발해지고, 인접한 지자체 간 연계 활용도 가능한 공동 솔루션도 개발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 이번 공모에 선정된 지자체 사업계획 발표자료스마트시티 종합포털(www.smartcity.go.kr)을 통해 7월 14일부터 확인할 수 있다.

 

 

더 자세한 정보, 자료는 네오비 카페

(https://cafe.naver.com/famlab/360983)에서 확인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