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비 비즈 아카데미

메뉴 뒤로가기

부동산 정보

  • ’25.5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
  • 교육팀 / 2025.06.21

’25.5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

- (주택종합) 매매 0.02%하락, 전세 0.00%보합, 월세통합 0.05%상승 -

- (아 파 트) 매매 0.03%하락, 전세 0.01%상승, 월세통합 0.05%상승 -

□ `25년 5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 매매가격지수는 전국(-0.02%)은 하락, 수도권(0.10%), 서울(0.38%)은 상승, 지방(-0.12%)은 하락하였고, 전세가격지수는 전국(0.00%)은 보합, 수도권(0.06%), 서울(0.15%)은 상승, 지방(-0.05%)은 하락, 월세가격지수는 전국(0.05%), 수도권(0.10%), 서울(0.16%), 지방(0.01%)은 상승을 나타냈다.

□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은 “서울‧수도권 소재 신축‧재건축 단지 등에 대한 매수 문의는 꾸준한 편이나, 구축‧외곽지역 소재 단지 등은 거래가 다소 한산한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ㅇ 매매는 서울·수도권에서 신축‧재건축 수혜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 계약이 체결되기도 하나, 그 외 단지는 관망심리로 계약체결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지방도 구축 단지에 대한 수요 감소 등으로 전국 하락세 유지하였으며,

ㅇ 전·월세는 역세권, 학군지 등을 중심으로 임차 수요가 지속되고 있으나, 정주여건이 다소 열세한 외곽지역이나 노후화 단지에서는 하락세를 보이는 등 전세는 보합 유지, 월세는 상승폭 유지중”이라고 밝혔다.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 : -0.02%] 전국은 -0.02%로 전월 대비(-0.02%) 하락폭 유지됐다. 수도권(0.07%→0.10%) 및 서울(0.25%→0.38%)은 상승폭 확대, 지방(-0.11%→-0.12%)은 하락폭 확대됐다. (5대광역시(-0.19%→-0.24%), 8개도(-0.06%→-0.09%), 세종(0.25%→1.45%))

(수도권) 서울(0.38%)은 선호단지 중심으로 상승세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서초·송파·강남구 위주로 상승하며 지난달 대비 상승폭 확대. 경기(-0.05%)는 과천시·성남 분당구에서 상승했으나, 평택시·고양 일산동구에서 하락, 인천(-0.07%)은 연수·계양·동구 위주로 하락 지속

- (서울 강북14개구) 성동구(0.65%)는 금호·성수동 주요단지 위주로, 용산구(0.62%)는 이촌·산천동 위주로, 마포구(0.62%)는 아현·염리동 준신축 위주로, 광진구(0.30%)는 광장·자양동 위주로, 종로구(0.28%)는 평·충신동 위주로 상승

- (서울 강남11개구) 서초구(0.95%)는 반포·잠원동 위주로, 송파구(0.92%)는 잠실·신천동 위주로, 강남구(0.84%)는 압구정·대치동 위주로, 양천구(0.66%)는 목·신정동 위주로, 강동구(0.61%)는 고덕·명일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상승

(지방) 세종(1.45%)은 다정·새롬동 학군지 및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상승했으나, 대구(-0.41%)는 북구 중소형 규모 및 달서구 위주로, 광주(-0.28%)는 동구 및 서구 구축 위주로, 경북(-0.18%)은 경산시·포항 남구 위주로 하락



※ 연립주택은 다세대주택을 포함하며, 단독주택은 다가구주택을 포함

 

[전국 주택종합 전세가격 : 0.00%] 전국은 0.00%로 전월 대비(0.00%) 보합 유지됐다. 수도권(0.05%→0.06%) 및 서울(0.09%→0.15%)은 상승폭 확대, 지방(-0.05%→-0.05%)은 하락폭 유지됐다. (5대광역시(-0.05%→-0.04%), 8개도(-0.05%→-0.07%), 세종(0.00%→0.35%))

(수도권) 서울(0.15%)은 정주여건 양호한 역세권·학군지·대단지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임차수요 이어지며 서울 전체 상승폭 확대. 경기(0.04%)는 광명·평택시·부천 소사구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안양 동안·용인 수지구 위주로 상승. 인천(-0.07%)은 계양·남동구 위주로 상승했으나, 연수·서구에서 하락

- (서울 강북14개구) 강북구(-0.05%)는 수유·미아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용산구(0.23%)는 도원·이태원동 주요단지 위주로, 노원구(0.17%)는 중계·공릉동 역세권 위주로, 종로구(0.16%)는 무악·창신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마포구(0.16%)는 염리·아현동 위주로 상승

- (서울 강남11개구) 서초구(-0.14%)는 잠원·서초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강동구(0.42%)는 고덕·둔촌동 신축 위주로, 송파구(0.37%)는 방이·잠실동 역세권 위주로, 영등포구(0.26%)는 대림·여의도동 주요단지 위주로, 양천구(0.20%)는 목·신월동 위주로 상승

(지방) 대전(-0.31%)은 유성·중·서구 구축 및 대단지 위주로, 제주(-0.16%)는 서귀포·제주시 소형 규모 위주로, 대구(-0.13%)는 달성군 외곽지역 및 북·서구 위주로, 강원(-0.13%)은 속초·원주·동해시 위주로 전세 수요 감소하며 하락

 

 

[전국 주택종합 월세가격 : 0.05%] 전국은 0.05%로 전월 대비(0.05%) 상승폭 유지됐다. 수도권(0.09%→0.10%), 서울(0.10%→0.16%)은 상승폭 확대, 지방(0.01%→0.01%)은 상승폭 유지됐다.(5대광역시(0.00%→0.03%), 8개도(0.01%→-0.01%), 세종(0.08%→0.05%))

(수도권) 서울(0.16%)은 경기 침체, 대출 규제 등 영향으로 월세 선호 현상 지속되며 상승폭 확대. 경기(0.06%)는 평택·김포시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광주시·성남 수정구 위주로 상승, 인천(0.04%)은 서구 위주로 하락했으나, 계양·남동·중구 위주로 상승

- (서울 강북14개구) 용산구(0.34%)는 정주여건 양호한 이촌·문배동 위주로, 마포구(0.23%)는 성산·망원동 위주로, 종로구(0.21%)는 숭인동 위주로, 중구(0.21%)는 신당·묵정동 위주로 상승

- (서울 강남11개구) 송파구(0.38%)는 잠실·신천동 주요단지 위주로, 영등포구(0.27%)는 신길·여의도동 위주로, 강서구(0.23%)는 화곡동 및 가양·등촌·방화동 역세권 위주로, 양천구(0.16%)는 목·신정동 위주로 상승

(지방) 대구(-0.13%)는 북·중구 위주로 하락했으나, 울산(0.19%)은 북·남구 위주로, 광주(0.18%)는 남·북구 위주로 상승하면서, 5대광역시 보합에서 상승 전환. 충북(0.06%)·세종(0.05%)은 상승 유지했으나, 제주(-0.17%)는 하락폭 유지, 충남(-0.16%)은 하락폭 확대, 강원(-0.02%)은 상승에서 하락 전환하면서, 8개도 상승에서 하락 전환



 

 

 

 더 자세한 정보, 자료는 네오비 카페

(https://cafe.naver.com/famlab)에서 확인가능합니다.